필자는 2012년부터 인더스 문명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여 2023년 10월 이 연구에 대한 보고서를 출판함으로써 종지부를 찍게 되었다.
필자가 이제 다시 인도로 들어가 작업할 순간이 또 올지 모르겠다.
어쨌건 필자의 작업이 마무리 되어가는 지금, 인도에서의 세월을 사진으로 회고해 보고자 하였다.
어차피 이렇게라도 정리해 두지 않으면 묻힐 이야기들이라, 한번 쯤 심심풀이 삼아 읽어 보시기 바란다.
인도의 회고 (1): 프롤로그
뭐 필자가 이제 다시 인도로 들어가 작업할 순간이 또 올지 모르겠다. 어쩄건 필자의 작업이 마무리 되어가는 지금, 인도에서의 세월을 사진으로 회고해 본다. 뭐 엄청나게 보이지만 필자와 한
historylibrary.net
인도의 회고 (2): 델리에서
여기 사진은 필자가 인도에 없을 때 사진도 많다. 우리 연구실은 거의 단독으로 들어가 작업했기 때문에 2인 이상이 들어가는 경우가 거의 없었다. 사실 인도에서의 연구라고 해서 별로 다를 것
historylibrary.net
인도의 회고 (3) : 인더스문명으로 가는 길
사진을 올리다 보니 필자가 인도에서 작업하는데 현지 고고학자들 도움을 정말 많이 받았음을 새삼 느낀다. 이 자리를 빌어 현지에서 필자를 지원해주고 도와준 많은 동료 학자 분께 진심으로
historylibrary.net
인도의 회고 (4): 돌라비라 유적
돌라비라 유적은 인더스 문명 최대 도시 5개 중 하나다. 인더스 문명 도시는 현재의 국경을 기준으로 파키스탄과 인도에 나뉘어 있는데 인도 쪽에 있는 것이 돌라비라와 라키가리다. 우리 연구
historylibrary.net
인도의 회고 (5): 현장과 이동
앞에서도 이야기 했지만 인도 현장에는 언제나 우리 쪽에서는 한 명이 들어가 발굴과 시료채취 작업을 했기 때문에 항상 인도 고고학자와 함께 이동했다. 여담이지만, 대규모 발굴단이 다른 나
historylibrary.net
인도의 회고 (6): 인도 발굴 현장을 오가며 본 야생동물들
요즘은 어떤지 모르겠는데 인도 발굴현장을 연결하는 고속(?)도로는 그야말로 야생 벌판을 달린다. 이 때문에 동네 가축떼는 물론 고속도로 옆으로 야생동물이 질주하는 드문 광경도 가끔 목격
historylibrary.net
인도의 회고 (7) : 2012년- 한국과 인도에서 계속되는 인연
2012년에도 한국과 인도에서 인연은 계속되었다.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김용준 박사와 오창석 교수의 이 당시 필드웍은 고생 그 자체였다 (거지꼴이다). 느리디 느린 인도열차를 타고 발굴현장으
historylibrary.net
인도의 회고 (8) : 2013년 데칸대 생활
2013년의 인더스문명 조사-. 이때는 데칸대로 들어가 현지에서 강의와 연구를 하였다. #인도고고학 #인더스문명 #인더스문명조사
historylibrary.net
인도의 회고 (9): 다음 인도 여행은 관광으로
필자는 인도출장을 정말 빡세게 다녔다. 필자만 그런 게 아니라 동료들도 다 마찬가지로 연구 기간 내내 거의 혼자들 들어갔고 현지 고고학자들과 숙식을 같이하며 데칸대에서는 학생식당 밥을
historylibrary.net
인도의 회고 (10) : 라키가리 발굴 시작 (2014-2015) 그리고 내셔널지오그래픽
2014년이 되면서 우리 연구진은 탐색전이 끝나고 MOU를 바탕으로 본격적인 발굴이 시작했다. 라키가리 유적은 인더스 문명의 대도시 5군데 중의 하나로 아직까지 발굴되지 않은 곳으로는 몇 안 남
historylibrary.net
인도의 회고 (11): 2016년
이 해는 내셔널 지오그래픽 프로젝트 수행과 인도 내 학회 참석 등으로 정말 바빴다.
historylibrary.net
인도의 회고 (12) : 라키가리 발굴 2016
그럭저럭 필자의 인도출장에 대해서는 막바지로 달려간다. 이 드론은 실제로 인더스문명 도시 유적 라키가리 현장 하늘을 날게 된다. 인도공항에서 입국 때 이 드론 때문에 상당히 애를 먹었었
historylibrary.net
인도의 회고 (13) : 계속되는 2016년 발굴
2016년은 인더스문명 라키가리 유적 발굴 계속이다. 저녁 발전기를 돌리는 시간에는 이렇게 노래도 듣는다. 인더스 문명과 트윈폴리오 노래라니!!
historylibrary.net
인도의 회고 (14): 신데 교수
2016년 인더스문명 라키가리 유적 조사 계속이다 데칸대학 고고학과 바산 신데 Vasant Shinde 교수는 한국의 박물관과 야외 전시관에 관심이 많았다. 인도 문화유산도 이렇게 보여줄 수 있으면 좋겠
historylibrary.net
인도의 회고 (15): 2018년 SOSAA 미팅
필자도 나이가 들었는지 인도를 마지막으로 들어간 것이 2016년으로 생각했는데, 2018년이 마지막이었다. 이해에 콜카타 (구 캘커타) 인도박물관 (Indian Museum) 에서 SOSAA 학술대회가 열렸는데 이때
historylibrary.net
인도의 회고 (16): 에필로그
필자의 인도회고도 이번이 마지막이다. 사실 인도 이야기는 이전에도 몇 번 다룬 적이 있기 때문에 재탕의 우려가 있었지만, 그럼에도 불구하고 편년체식으로 간추려 본 것은 앞에서 언급했듯
historylibrary.net
'초야잠필-草野簪筆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신동훈: 조선시대 미라 관련 총 서지 목록 (0) | 2024.02.21 |
---|---|
신동훈: 고고기생충학-화장실 고고학 관련 논문 총 서지목록 (1) | 2024.02.15 |
신동훈: 인류학-고병리학 관련 출판 서지 목록: 일본어 논문 (0) | 2024.02.12 |
故天將降大任於是人也, 必先苦其心志 (0) | 2021.08.21 |
초야잠필 (1) | 2020.07.26 |